늘봄학교는 기존의 초등학교 방과후와 돌봄을 통합한 체제입니다.
2024년 1학기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2024년 2학기 전국 1학년 대상 전면시행, 2025년 전국 1~2학년 대상, 2026년 전국 1~6학년 대상 확장을 목표로 교육부가 주도적으로 관리/감독 하고 있습니다.
늘봄학교 관련 채용 현황
늘봄학교는 현재 과도기로, 채용에 관한 명확한 기준/지침이 없습니다.
본 문서는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.
•
[교육 공무직으로 채용하는 경우]
◦
지원자격 : 만 18~60세 미만 누구나 응시 가능하나, 몇몇 교육청/학교 에서는 기사, 컴활, 워드 자격증 등을 필수 지원자격으로 두기도 했습니다.
◦
응시자 거주지 조건 : 교육청 별 해당 지역 내 거주자만 응시 가능합니다.
◦
시험일정(전형) : 필기시험과 면접을 병행하기도 하고, 서류평가와 면접만 보기도 합니다.
◦
계약기간 : 무기계약인 곳도 있고, 기간제로 채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•
[기간제 교사로 채용하는 경우]
◦
늘봄실무사 대신 단기간(6개월~2년) 늘봄 실무를 전담할 기간제 교사를 채용하는 경우입니다.
◦
교육청마다, 학교마다 조건이 많이 다양합니다. 4년제 졸업, 교원자격증 등을 지원 조건으로 걸기도 합니다.
늘봄학교 인력 구성 (예정)
•
늘봄지원실장 : 늘봄학교 업무 책임자인 늘봄지원실장을 임기제 연구사로 배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, 아직 확정된 사항은 없습니다.
•
늘봄실무직원 : 행정업무 전담 인력인 늘봄실무사를 기간제 교사로 할지 무기계약 공무직으로 할지 각 교육청에서는 실무 검토를 하고 있습니다. 즉 아직 채용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습니다.
•
늘봄전담사 : 기존 돌봄 전담사의 역할을 대신합니다. 보육교사 자격증이 관련 자격증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.
•
늘봄프로그램 강사 : 기존 방과후 강사와 크게 다르지 않게 유지됩니다.